본문 바로가기

071

8살에 생긴 성조숙증 약 2년 만에 이겨낸 후기. 성조숙증 2년 만에 주사없이 이겨낸 이야기 진단 병원 : 동탄 센트럴병원 진단 시기 : 2021년 1월 첫 진단 내용 : 호르몬 검사에서 기준치 5.0을 넘지 않았고, 3.5 정도라 6개월마다 지켜보기로 했었음. 대부분 여자아이들은 가슴 발달이 눈에 띄어 병원에 방문한다. 우리 아이도 그랬다. 당시 만 8년 11개월, 키 127cm, 몸무게 26kg이었는데 가슴이 아프다고 하고, 만져보니 멍울이 잡혀 병원을 예약했다. 우리 큰 조카가 당시 성조숙증으로 주사치료를 시작할 무렵이었는데, 조카는 엄청 마른 체형이라 성조숙증이 비만과 별로 상관이 없다는 건 원래부터 알고 있었다. 그럼 도대체 왜 이러는 거지? 간식을 많이 먹는 스타일도 아니다. 동탄 센트럴 병원은 좋은 것이, 그날 바로 성조숙증 검사가 가능하다.. 2023. 1. 11.
부모에게 감사하지 않는 아이. 부모님이 해주는 것들을 감사하지 않는 아이들 감사는 학습해야 하는 덕목이다. "너는 부모가 이렇게까지 해주는데 감사하지도 않니?" 아마 부모라면 한 번쯤 말해봤을 것이다. 특히나, 아이 키우는데 비용이 많이 들었을 때 그렇다. 부모는 이렇게나 내가 돈을 많이 쓰는데 열심히 하기는커녕, 고마워하지도 않아 하는 아이의 태도가 기분이 나쁘다. 지난주에 나도 아이와 저런 대화가 오갔는데, "네, 고마워요. 됐죠?"라는 대답이 돌아왔을 때 솔직히 마음이 많이 상했다. 또래에 비해 조금 성숙하다고 생각했었는데 역시 아이는 아이였다. Q. 어쩜 그렇게 부모의 사랑을 감사할 줄 몰라? "라테는 말이야~ " 아이와 실랑이 도중, 왜 내 과거를 끌어들여 말할까. "제발 나에게 감사해 줘. 내가 이만큼 해주잖아." 솔직한 .. 2023. 1. 10.
초등 4학년에 영어 공부를 시작하는 이유. 초등학교 4학년에 영어 공부를 시작하는 게 하나도 늦지 않다. 호주 유학, 미국 대학 교환학생, 입시 영어강사 경력 8년인 내가 아이에게 영어를 굳이 가르치지 않았던 이유를 되짚어 보려 한다. 1. 지속가능한 목표설정을 하자. 결론부터 말하자면, 우리의 외벌이 공무원 월급으로 영어유치원은 당연히 불가능이었다. 게다가 우리는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낼 수 없었던 상황이었다. 우리 아이는 그 흔한 어린이집 영어 프로그램에도 노출되지 않았다. 가끔 페파피그 같은 영어 만화를 틀어주기도 했으나, 텔레비전만 쳐다보고 있는 게 싫어서 몇 번 하다가 말았다. 자연스럽게 조기교육이나 영어유치원은 멀어졌다. 하지만 우리나라 영어 교육 시스템을 나도 어느 정도는 알고 있었기에, 나와 남편은 지속 가능한 목표를 설정하기로 했다.. 2023. 1. 10.
자주 욱하는 엄마라면 자존감이 문제다. 욱하지 않고 화를 잘 다스리는 엄마, 자존감 높은 엄마가 되는 방법 아이를 키우다 보면 하루에도 몇 번씩 감정이 널뛰기를 한다. 모든 엄마에게는 다정한 엄마의 모습 뒤에 언제든 불쑥 튀어나올 수 있는 분노하는 엄마가 있다. 다정한 엄마, 화내는 엄마 모두 엄마 자신이다. 함부로 아이에게 화내는 모습은 자존감이 낮은 자신의 문제다. 아이가 저지르는 일을 핑계로 우리는 얼마나 많이 분노하는 엄마를 풀어놓았던가? 이제 스스로의 문제라는 걸 깨닫자. 그리고 화날 상황이 생기면 이 4단계를 따라보자. 아이에게 화가 날 때는 이 4단계를 기억하자. 1단계, 쉬운 분노조절. 화가 났을 때는 후회할 말과 행동을 저지르기 쉬운 상태가 된다. 화가 났다는 것을 알아차리는 것만으로도 일단 그 상황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2023. 1. 9.
우리 아이를 행복한 아이로 키우는 부모 코칭 부모라면 누구나 자신의 아이가 행복한 아이로 자라길 원한다. 하지만 삶의 과정이 부모와 아이가 모두 만족하고 행복하기는 꽤 어렵다. 10살짜리 딸을 키우는 엄마로서, 전반적인 주요 내용들을 되짚어 보려 한다. 1. 꿈이 있는 아이로 키우자. 내가 어렸을 때, 나는 치과의사가 꿈이었던 적이 있다. 왜냐하면, 의사는 돈을 많이 벌고 존경받는 직업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난 부모님이나 주변 선생님들에게 어떠한 치과의사가 되기 위한 조언이나 방법을 얻지 못했다. 부모님은 맞벌이에 항상 바쁘셨고, 학교 선생님들은 접근조차 어려웠다. 내 치과의사라는 꿈은 그저 그들이 가끔 한 번씩 물어볼 때 던져줄 좋은 대답에 불과했다. 아이가 꿈을 갖고, 그 꿈을 이루도록 도우려면 부모가 먼저 꿈을 갖고 사는 모습을 보이.. 2023. 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