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70 만9세까지는 영어공부에 돈쓰지 말자. 영어공부에 돈낭비 하지 말자. 하지만 이런 아이는 시켜줘야 한다. 예외 1. 아이가 영어를 스스로 좋아하고 배우고 싶다고 한다. 예외 2. 향후 몇 달 또는 몇 년 이내로 외국에 나가서 살아야 한다. 예외 3. 외국에서 태어나거나 자라서 영어의 감을 잃고 싶지 않다. 예외 4. 재정적인 여유가 넘쳐나서 영어에 돈을 많이 써도 아무렇지 않다. 예외 5. 부모님이 두 분 다 일하실 경우, 아이의 시간을 영어공부로 채워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만 9세까지는 영어에 돈 쓰지 말자. 1. 왜 영어교육을 해야 할까? 왜? 부모 스스로 우선 영어 교육에 기준을 잡아야 한다. 왜 영어만? 우리나라 영어 조기교육이 과열되어 있으니까 휩쓸리기 쉬워서 그렇다. 어린아이들은 영어 교육부터 시키려는 학부모들이 많다. 왜냐면 .. 2023. 1. 31. 여자아이들이 꼭 운동해야 하는 이유. 여자 아이도 운동의 혜택을 누려야 한다. '청소년 스포츠 트러스트(YST)'라는 영국의 비영리단체는 "여학생들의 어린 시절 동안 운동량과 미래의 성공 사이에는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라고 말했다. 어린 시절 꾸준한 운동 습관은 "할 수 있다"라는 자신감과 직결된다는 것이다. 중, 고등 여학생들의 93%가 땀 흘리는 것조차 싫어서 운동을 안 한다고 한다. 초등학교 고학년 이후 2차 성징이 발현되면서 여자아이들의 움직임은 더 소극적이게 된다. 2019년 보건복지부가 조사한 결과, 여자아이들이 주 5일 운동한다는 비율은 7.1%로 남학생들의 20%의 1/3 수준에 머문다고 보고하였다. 한국 청소년 자체가 방과 후 운동 활동이 OECD 꼴찌를 기록한 가운데 여자아이들의 활동량은 더 최악으로 나타났다. 많은 나라.. 2023. 1. 30. 6살 아이에게 바이올린을 가르치며 기대한 효과. 6살에 바이올린 레슨을 시작하며 기대한 효과. 아이의 유치원이 5시에 끝나기에 나는 유치원 말고는 아이에게 아무것도 시키지 않았다. 그런데 어느 날, TV에서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광고에 한 남자아이가 바이올린을 켜는 장면이 나왔다. 우리 아이는 그걸 보고 나서 바이올린을 하고 싶다고 했다. 며칠을 노래를 부르길래, 인터넷으로 '시크릿 쥬쥬의 바이올린' 장난감을 사다 줬다. 받자마자 이게 아니라며 울었다. '뽀로로의 골프' '타요의 훌라후프' 등 캐릭터 장난감을 좋아하던 아이인데 이번만은 달랐다. 진짜. 바이올린을 사달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배우겠다고 한 달을 떼를 썼다. 결국은 알음알음 바이올린 선생님을 알아봐서 레슨을 시작했다. 1.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것 자체가 인내심과 끈기를 길러준다. 6살 4.. 2023. 1. 28. 뮤지컬 마틸다 관람 23.01.26 영화와 비교 뮤지컬 마틸다 실제 관람 후 영화와 비교. 목차 상상력을 펼치는 뮤지컬의 무대 도서관 vs 영화의 버스 도서관 탈출 마술사와 공중 곡예사 표현, 뮤지컬의 웅장함 vs 영화의 섬세함 영화의 장점인 카메라 무빙과 자막 미스 허니 선생님의 아쉬움 뮤지컬 마틸다 대성 디큐브아트센터 22년 10월 5일~ 23년 2월 26일 넷플릭스 마틸다 22년 12월 25일 넷플릭스에서 공개. 뮤지컬과 영화의 마틸다를 아이와 보고 나서 아이와 내가 느낀 점의 공통부분이 있었다. 1. 상상력을 펼치는 뮤지컬의 무대 도서관 vs 영화의 버스 도서관 마틸다는 책을 많이 읽는 만큼 공상력도 뛰어난 아이다. 그리고 그런 상상력을 도서관의 사서 선생님에게 마음껏 풀어놓는다. 뮤지컬과 다르게 마틸다 영화에서는 버스 도서관이 마을 곳곳을 누.. 2023. 1. 27. 초등 논술 빨리 안 하면 큰일 나는 이유 초등학교 논술 교육은 선택이 아닌 필수. 내가 학생 때도 교육 제도가 매번 바뀌고 혼란을 일으키기만 하더니 수십 년이 흐른 지금도 여전하다. 2022년 12월 현 교육부 장관이 일반고등학교를 위한 대책으로 '국제 바칼로레아'를 언급했다. 장관의 발언으로 머리가 지끈거리는 학부모님들이 정말 많을 것이다. 바칼로레아란 단어를 처음 들어본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나는 프랑스식 수능 시험이라는 것만 알고 있었는데 자세히 알아보니 전혀 다른 것이었다. 거부감이 들기도 하겠지만 제도가 왜 이러냐고 화만 낼 것이 아니다. 학부모님들은 새로운 정보를 얻고 발 빠른 대처를 해야 한다. 그것이 우리 아이를 위한 길이다. 1. 국제 바칼로레아란? (International Baccalaureate Programme) 스위스.. 2023. 1. 26. 반장 선거 경험담과 good tips for 저학년 반장에 당선된 경험담과 꿀팁 공개. ( class president election) 나의 딸은 작년 3학년 2학기 반장(class president)이었다. 요새에는 회장이라고 지칭한다. 1학기에 나갔다가 떨어져서 안 할 줄 알았는데 스스로 또 해보겠다고 했다. 그러더니 당당히 반장이 되었다. 내가 어렸을 때보다 한 학급 인원이 줄고, 공신력도 낮아진 거 같지만 어른들에게 반장은 참 좋은 이미지이다. 그래서 정말 자랑스러웠다. 그렇게 인기가 많은 것도 아니고 코로나 세대라 처음 반장선거를 해 본 것인데 어떻게 반장이 될 수 있었는지 곰곰이 생각해 보았다 1. 1학기보다 2학기에 지원자가 많다. 1학기에 처음 나갔을 때 우리 아이까지 지원자가 3명이었다. 그런데 그때가 한창 아이들 사이에 코로나 확진자가.. 2023. 1. 25.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다음